이호철 (소설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호철은 1932년 함경남도 원산에서 태어난 소설가이다. 1950년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가 포로로 잡혔으며, 1955년 단편 〈탈향〉으로 등단했다. 초기에는 전쟁의 상흔과 분단 문제를 다루었으며, 1962년 동인문학상을 수상했다. 1970년대에는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여 투옥되기도 했으며, 1989년 대한민국문학상, 1996년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2016년 뇌종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산시 출신 - 김학철 (1916년)
김학철은 1916년 함경남도 원산 출생으로, 항일 투쟁에 참여한 독립운동가이자 작가이며, 중국과 북한에서 활동하다가 중국으로 망명하여 문학 활동을 펼쳤다. - 원산시 출신 - 김원균
김원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작곡가로서 애국가와 김일성 장군의 노래를 작곡하고 혁명가극 창작에 참여했으며 평양음악무용대학 학장, 피바다가극단 총장, 조선음악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등을 역임했고 로력영웅, 인민예술가 칭호를 받았다. - 요산김정한문학상 수상자 - 백낙청
백낙청은 대한민국의 영문학자이자 문학평론가, 사회운동가로서, 《창작과비평》 창간, D. H. 로런스 연구, 유신 정권 비판, 남북 화해와 통일 운동 참여, 민족 문학론과 분단 극복론 주창 등 비판적 지식인으로서 한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 - 요산김정한문학상 수상자 - 성석제
성석제는 해학과 풍자를 통해 인간과 사회의 부조리를 그려내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유머와 비애를 조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했다. - 동인문학상 수상자 - 김훈 (소설가)
김훈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으로, 1994년 등단 후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발표하며 문명을 얻었고, 간결하고 힘 있는 문체와 인물 내면 묘사가 특징이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고,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전업 작가가 되었다. - 동인문학상 수상자 - 성석제
성석제는 해학과 풍자를 통해 인간과 사회의 부조리를 그려내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유머와 비애를 조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했다.
이호철 (소설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본명 | 이호철 |
한자 표기 | 李浩哲 |
로마자 표기 | I Hocheol |
출생 | |
출생일 | 1932년 3월 15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함경남도 원산부 |
사망 | |
사망일 | 2016년 9월 18일 (향년 84세)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학력 | |
최종 학력 | 함경남도 원산고등보통학교 중퇴 |
직업 및 활동 | |
직업 | 소설가 |
활동 기간 | 1955년 ~ 2016년 |
경력 | 중앙대학교 강사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
데뷔 작품 | (탈향) |
호 | 현산(現山), 견산(見山) |
가족 관계 | |
부 | 이찬용 |
모 | 박정화 |
2. 생애
의안대군의 후손으로, 함경남도 원산에서 태어나 원산고등보통학교를 중퇴하였다. 1950년 19살의 나이에 한국 전쟁에 인민군으로 참전했다가 국군에 포로로 잡혔다 풀려난 후 이듬해 월남했다. 1주일이면 돌아올 것으로 생각하고 가볍게 내려왔으나[15] 분단이 고착되면서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1974년 문인간첩단 사건에 연루되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투옥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며 분단 문제에 천착해왔다.[16]
이호철은 함경남도 원산 출생으로, 의안대군 이화의 후손이다. 한국 전쟁 당시 인민군으로 참전했다가 국군 포로로 잡혔다 풀려난 후 월남했다.[15] 분단이 고착되면서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1974년 문인간첩단 사건에 연루되어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투옥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겪으며 분단 문제에 천착해왔다.[16]
1955년 단편 〈탈향〉이 《문학예술》에 추천되어 문단에 나왔다. 초기에는 사회 저변의 소시민적 삶의 생태를 주로 그렸으며, 1961년 단편 〈판문점〉에서는 한반도 남북의 사회심리에 대한 예리한 분별력을 보여주었다. 1970년대 전반기에 발표한 연작소설 《이단자》는 조국의 분단 상황이 빚은 비리들을 인정적인 차원에서 잘 형상화했다. 1970년대 문단·작단에 이르기까지 활약한 소장 작가들의 대표적 위치에 있었다.
1962년 《닳아지는 살들》로 동인문학상을 수상했다. 박정희의 독재 정권에 맞서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1970년대 대부분을 감옥에서 보냈다. 1980년대 전두환이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잡은 후에도, 정부의 박해가 심해짐에도 불구하고 군사 독재에 맞서 싸웠으며, 자유 실천 문인 협의회 등의 단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3]
2016년 뇌종양으로 투병 중이었으나, 9월 18일에 85세를 일기로 사망했다.[9]
3. 작품 세계
3. 1. 주요 작품 경향
이호철은 1955년 단편 〈탈향〉으로 등단하여 현실을 직접 묘사하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초기 작품에서는 주로 사회 저변의 소시민적 삶의 생태를 그렸으며, 한국 전쟁이 개인에게 미친 정신적 고통과 전쟁으로 이득을 본 자와 폐허 속에 남은 자 사이의 갈등을 조명했다.[5]
1961년 발표한 단편 〈판문점〉은 한반도 남북의 사회심리에 대한 예리한 분별력을 보여준 작품이다. 남한 기자가 휴전선(DMZ)을 방문하여 북한 여기자와 짧지만 따뜻한 만남을 가지는 내용을 담은 이 작품은 대표적인 분단 문학으로 꼽힌다.[6] 〈남녁 사람 북녁 사람〉 역시 젊은 한국 군인의 시각에서 분단 문제를 다룬다.[7]
1970년대 전반기에 발표한 연작소설 《이단자》는 조국 분단 상황이 빚은 비리들을 인정적인 차원에서 형상화했다. 이호철은 경제적 성공의 영향에도 관심이 많았으며, 속 빈 가치와 돈 추구에 굳어진 소시민의 모습을 그리기도 했다.[8] 그는 1970년대 문단과 작단을 아우르는 대표적인 소장 작가로 평가받는다.
3. 2. 대표작
4. 수상 경력
연도 | 상 이름 |
---|---|
1962년 | 현대문학상 |
1962년 | 동인문학상 |
1989년 | 대한민국문학상 |
1996년 | 대산문학상 |
1998년 | 대한민국예술원상 |
2004년 | Friedrich Schiller University of Jena|프리드리히 실러 대학교de 메달 |
2012년 | 제53회 삼일문화상 예술상 |
5. 기타 이력
연도 | 수상 내용 |
---|---|
1962년 | 동인문학상 |
1989년 | 대한민국문학상 |
1996년 | 대산문학상 |
1998년 | 대한민국예술원상 |
2004년 | 독일 예나 프리드리히 실러 대학교(Friedrich Schiller University of Jena) 메달 |
2012년 | 제53회 삼일문화상 예술상 |
6. 작품 목록
이호철은 1955년 단편소설 《탈향》으로 등단한 이후, 전쟁과 분단의 현실을 반영한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다. 초기에는 전쟁의 상흔을 섬세하게 묘사한 단편들을 주로 발표했으며, 1960년대에는 현실 사회 문제를 역사적 시각으로 그린 장편 《판문점》을 발표했다.[9] 1970년대에는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면서 창작 활동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나, 이후에도 꾸준히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9]
연도 | 제목 | 종류 | 비고 |
---|---|---|---|
1961년 | 나상[12][14] | 단편 소설 | |
1964년 | 소시민 | 단편 소설 | |
1966년 | 서울은 만원이다 | 장편 소설 | |
1972년 | 큰 산 | 단편 소설 | |
1975년 | 닳아지는 살들 | 단편 소설 | 동인문학상 수상 |
1976년 | 이단자 | 단편 소설 | |
1977년 | 남풍북풍 | 소설 | |
1978년 | 그 겨울의 긴 계곡 | 소설 | |
1981년 | 문 | 장편 소설 | |
1988년 | 판문점 | 장편 소설 | |
1995년 | 뿔 | 소설 | |
1996년 | 남녘사람 북녘사람 | 장편 소설 | |
1997년 | 이호철의 소설 창작 강의 | ||
2001년 | 이호철 문학선집 | ||
2009년 | 별들 너머 이쪽 저쪽 | 소설 |
그의 작품은 영어, 독일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일본어, 중국어, 폴란드어, 프랑스어, 헝가리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해외에도 소개되었다.
6. 1. 단편 소설
이호철은 1955년 단편소설 《탈향》이 《문학예술》에 추천되어 등단하였다.[9] 초기에는 전쟁의 상흔을 섬세한 필치로 묘사한 《나상》, 《탈각》, 《만조》 등의 단편을 발표했다. 이 작품들에서는 전쟁에 나간 손자를 둔 할머니, 전쟁의 명분도 의욕도 잃은 채 행군하는 인민군 형제, 고통 속에서 살아가는 전쟁 고아의 모습 등을 그리고 있다.[9]1962년 《동인문학상》을 수상한 작품 《닳아지는 살들》은 평범한 일상생활을 그리고 있지만, 남북 분단의 상황이 그 바탕에 있다.[9]
주요 단편 소설 |
---|
《나상》(1961)[12][14] |
《소시민》(1964) |
《큰 산》(1972) |
《닳아지는 살들》(1975) |
《이단자》(1976) |
6. 2. 장편 소설
- 1964년 《소시민》
- 1966년 《서울은 만원이다》
- 《역여(逆旅)》
- 1981년 《문》[9]
- 1988년 《판문점》
- 1996년 《남녘 사람 북녘 사람》
- 1970년 《재미있는 세상》
- 1978년 《그 겨울의 깊은 골짜기》
6. 3. 번역 작품
- Panmunjom영어 (판문점)
- Panmunjom and Other Stories영어 (판문점 외 다른 단편들)
- Southerners, Northerners영어 (남녘 사람 북녘 사람)
- Heimatlosde (탈향)
- Kleine Leutede (소시민)
- Koreanische Erzählungende (한국 단편선)
- Menschen aus dem Norden Menschende (남녘 사람 북녘 사람)
- Сезон Дождейru (한국 단편소설선 2권)
- El ciudadano pequeñoes (소시민)
- 板門店일본어 (이호철 단편선)
- 脱乡-李浩哲短篇小说集중국어 (이호철 단편선집)
- 南边的人北边的人중국어 (남녘 사람 북녘 사람)
- Północ - Południepl (남녘 사람 북녘 사람)
- Gens du Sud, gens du Nord프랑스어 (남녘 사람 북녘 사람)
- La Vallée vide프랑스어 (이호철 단편선)
- Déliek, északiakhu (남녘 사람 북녘 사람)
- 「무너지는 소리」(박용구 역), 『한국명작단편집』(한국서적센터, 1970년) 수록
- 「닳아 없어지는 살갗」, 『현대한국문학선집 3 단편소설 I』(동수사, 1973년) 수록
- 「안달하는 사람들」(대무익부 역), 『한국단편소설선』(이와나미쇼텐, 1988년) 수록
- 「남풍북풍」, 『한국의 현대문학 1 장편소설 I』(카시와쇼보, 1992년) 수록
- 『남쪽 사람 북쪽 사람』(강상구 역), (신초사, 2000년)
- 『판문점』(강상구 역), (작품사, 2009년)
- 「탈향」「남쪽에서 온 사람들」, 『왕릉과 주둔군: 한국전쟁과 한국의 전후파 문학』(개풍사, 2014년) 수록
참조
[1]
웹사이트
박상순 biographical PDF
http://klti.or.kr/ke[...]
2013-09-21
[2]
서적
Korean Writers: The Novelists
Minumsa Press
[3]
웹사이트
Lee Ho-cheol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4]
뉴스
Dissident writer Lee dies at 84
http://m.koreatimes.[...]
2016-09-19
[5]
서적
Korean Writers: The Novelists
Minumsa Press
[6]
웹사이트
Lee Ho-cheol LTI Korea Datasheet
http://klti.or.kr/ke[...]
2013-09-21
[7]
서적
Korean Writers: The Novelists
Minumsa Press
[8]
서적
South Korea's Minjung Movement: The Culture and Politics of Dissidence
University of Hawaii Press
[9]
웹사이트
분단 아픔과 소시민 세태 가로지른 ‘문단의 큰 별’ 이호철씨 별세
http://www.hani.co.k[...]
2017-XX-XX #날짜 정보 부족
[10]
웹사이트
이호철 인물정보
http://people.search[...]
2014-XX-XX #날짜 정보 부족
[11]
웹사이트
아카이브된 복사본
http://www.klti.or.k[...]
2014-XX-XX # 날짜 정보 부족
[12]
웹사이트
이호철 (NAVER 한국현대문학대사전)
http://terms.naver.c[...]
2014-XX-XX #날짜 정보 부족
[13]
웹사이트
분단 아픔과 소시민 세태 가로지른 ‘문단의 큰 별’ 이호철씨 별세
http://www.hani.co.k[...]
2017-XX-XX #날짜 정보 부족
[14]
웹사이트
이호철 (NAVER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tp://terms.naver.c[...]
2014-XX-XX #날짜 정보 부족
[15]
서적
내 마음속 사진첩에서 꺼낸 이 한 장의 사진
샘터사
2004-04-25
[16]
뉴스
소설가 이호철 "어떤 핑계로라도 남북 오고가야"
https://news.naver.c[...]
XXXX-XX-XX # 날짜 정보 추출 불가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